인권운동사랑방

사랑방에서 활동하세요!사랑방을 후원해주세요!

자료실

제목 [기자회견 자료] G20 정상의 책임을 묻는 금융-투기자본의 피해자 모임 출범기자회견 번호 472
이름 인권운동사랑방 등록일 2010년 10월 26일 14시 49분 조회수 5615  
분류 인권일반
첨부파일

G20 정상의 책임을 묻는 금융•투기자본 피해자모임 출범 기자회견
“G20 정상들은 금융•투기자본 조성 책임을 인정하고 피해자들의 요구를 들어라!”
● 피해자 모임 출범 이유
IMF 외환위기 이후, 한국사회는 금융․•투기자본 세력에 의해 무차별적인 약탈에 시달려 왔다. 적대적인 인수합병 활성화와 무한한 금융자유화 등으로 금융•투기자본은 한국에 밀물처럼 들어와서, 주요 금융기관과 사회적 서비스 기능이 큰 공기업과 주요 기간산업까지 소유지배할 수 있었다. 그것도 관계당국의 고위관료들과 공모하여 불법과 탈법을 넘나드는 교묘한 방법으로 인수한 사례가 허다하다. 그 후에는 단기간에 고수익을 위한 경영에 몰두한 그들은 계속 기업가치 훼손, 고용과 생산을 크게 파괴했다.
그 결과, 주요 사업장에서는 주요 산업설비 매각과 기술유출, 정리해고와 비정규직이 양산되었다. 소비자들에게는 원래 제공이 약속되었던 서비스 기능은 축소되거나 약탈의 대상으로 전락되었다. 특히, 금융기관이 투기경영에 몰두한 결과, 그 피해는 신용불량자로 대표되는 사회 양극화의 참상을 불러왔다. 투기자본들의 파생금융상품들을 사기에 가까운 불완전 판매를 하여 건전한 기업들마저도 엄청난 피해와 도산위기에 내몰렸다.
한편, 금융•투기자본들은 한국사회가 계속 기업가치 훼손, 사회양극화를 심각하게 겪는 만큼 고수익을 챙겨왔다. 유상감자, 고배당, 산업설비 매각, 고배당, 회계부정, 환투기 등 법마저도 허용하지 않는 다양한 방법으로 산업화 이후 한국이 쌓아온 모든 부를 자신들의 본국으로 빼돌려 왔다. 이 수익은 다시 거대한 투기자본으로 조성되어 다시 전지구적 투기자금으로 조성되어 전지구적 경제위기를 가속시켰다.
이에, 지난 10년 간 한국사회 겪은 금융․투기자본 피해사실을 피해당사자의 목소리로 한국사회와 전 세계에 직접 알리고자 이 모임을 결성한다.


● 피해자들이 G20 정상들에게 책임을 묻는 이유
약 보름여 뒤, 전세계 경제위기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는 G20 정상회의가 서울에서 열린다. 주요 의제도 금융•투기자본에 대한 규제이다! 또, 같은 기간 세계경제를 쥐락펴락하는 초국적 자본들도 서울에서 비즈니스 써밋 회의를 개최한다고 한다.
하지만, 곰곰이 따져보면 지난 10년간 한국사회에 엄청난 폐해를 남긴 금융•투기자본의 본국이며, 그들이 전지구적인 투기행위를 할 수 있도록 법제도적으로나 투자금 제공 등을 조력한 국가들이 바로 G20의 주요 국가 들이다! 또한, 한국의 김앤장 법률사무소처럼, “회전문 인사”로 G20 각국의 정부와 주요 국가기관, 관계당국, 금융기관을 장악하여 최근의 투기자본 규제와 금융개혁도 무위로 돌리려는 시도가 있다는 언론보도도 있다. 한편, 비즈니스 써밋의 개최도 납득할 수 없다. 참석하는 기업대표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초국적 자본들이 곧 금융•투기자본인 경우가 허다하다. 이에, G20 정상들과 초국적 자본 대표들의 책임을 따져 묻지 않을 수 없다!
더욱이 피해자 모임에 속한 이들에게 해고와 사회적 박탈을 안겨준 국가의 정상들이 G20정상회의에 참석을 하고, 직접 가해한 기업과 금융기관 대표들도 비즈니스 써밋 회의에 참석한다.

피해자
금융투기자본 (가해자)
해당 국가
sc제일은행노동자, 해고노동자
뉴브릿지캐피탈, 스탠다드챠타드은행
(회장 비즈니스 써밋 참석)
미국, 영국, 기타
HSBC한국지사 노동자
HSBC (회장 비즈니스써밋 참석)
영국
외환카드노동자
론스타
미국, 기타
쌍용차 해고 노동자
상하이기차
중국
발레오공조코리아노동자,해고자
발레오
프랑스
위니아만도 해고 노동자
로스차일드, 씨티그룹
영국, EU, 미국, 기타
씨앤엠 케이블방송 노동자
맥쿼리, MBK파트너스
호주, 미국, 한국



● 피해자들의 활동방향과 요구사항
따라서, 우리 금융•투기자본 피해자 모임은 G20 서울정상회의 기간 동안 G20 정상들에게 적극적으로 책임을 따져 묻는 직접행동에 나설 것이다. 무엇보다, 피해사실 공표와 더불어 누가 가해책임이 있는지 온 세계에 알 것이다. 이를 위해 내주 11월 4일(목) 오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피해자 증언대회를 열어 구체적이고 구구절절한 피해사실을 낱낱이 증언할 것이다. 또한, 활발한 언론기고와 가두 홍보활동에도 나설 것이다.
그리고, 11월 둘째 주에는 G20 정상회담장을 직접 방문하여 해당국가 정상들에게 책임인정과 사과 그리고, 가해 책임자들-금융•투기자본의 처벌을 요구할 것이다. 또한, 적절한 피해구제 - 해고노동자들은 원직복직을, 금융피해자들은 손해배상을 요구할 것이다. 금융•투기자본의 책임부과와 사과, 배상이 없는 G20 정상회담은 거짓이기 때문에 피해자들이 직접행동에 나설 것이다!!(끝)


2010년 10월 26일 (화)

G20 정상의 책임을 묻는 금융•투기자본 피해자모임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SC제일은행지부, 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연맹 HSBC노동조합, 외환카드해고자, 전국금속산업노동조합 쌍용차지부, 전국금속산업노동조합 발레오공조코리아지회, 위니아만도 정리해 원천무효 투쟁위원회, 희망연대노동조합 씨앤엠지부, 금융채무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연석회의, 금융피해자연대-해오름, 빈곤사회연대, 인권운동사랑방, 투기자본감시센터, 무순)


  
쓰기 목록   답글
번호 제목 이름 등록일 첨부 조회
530
인권일반
인권위 공동행동
2017.06.29 1105
529
인권일반
유성기업 괴롭힘 및 인권침해 사회적진상조사단
2017.05.11 1045
528
자유권위원회
인권운동사랑방
2017.04.21 921
527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6.12.07 2525
526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6.08.18 2034
525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6.01.08 2955
524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5.11.17 1601
523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5.10.02 1636
522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5.09.07 1824
521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5.07.29 3064
520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5.04.22 2642
519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5.01.15 1846
518
자유권위원회
인권운동사랑방
2014.12.13 2381
517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4.10.07 2476
516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4.06.26 2305
515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4.04.07 2339
514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4.02.27 2268
513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4.02.27 2399
512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4.01.10 2774
511
인권일반
인권위 공동행동
2013.11.21 2424
510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3.10.08 2522
509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3.10.04 1992
508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3.08.27 2405
507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3.07.18 3026
506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3.07.11 2649
505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3.07.05 2413
504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3.07.04 6218
503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3.06.12 3397
502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외 23개 단체
2013.05.09 3640
501
인권일반
국제인권네트워크
2013.05.02 2734
500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등
2013.04.15 2923
499
반차별팀
차별금지법제정연대
2013.04.15 2396
498
자유권위원회
인권운동사랑방
2013.04.10 2362
497
자유권위원회
인권운동사랑방
2013.03.19 2710
496
자유권위원회
인권운동사랑방
2013.01.24 3156
495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12.12 2866
494
자유권위원회
인권운동사랑방
2012.11.07 2946
493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11.06 2807
492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10.29 2576
491
인권일반
강정인권침해조사단
2012.10.05 4548
490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09.14 2870
489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09.14 3377
488
반차별팀
인권운동사랑방
2012.09.12 3260
487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09.05 3076
486
반차별팀
인권운동사랑방
2012.09.05 2473
485
인권일반
현병철 연임반대 긴급행동
2012.08.08 2936
484
인권일반
현병철 연임반대 긴급행동
2012.07.24 3450
483
인권일반
전문위원 4인
2012.07.24 3295
482
인권일반
현병철 연임반대 긴급행동
2012.07.24 2902
481
인권일반
현병철 연임반대 긴급행동
2012.07.19 3391
480
인권일반
현병철 연임반대 긴급행동
2012.07.19 3346
479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07.05 3718
478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07.05 3350
477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07.04 3157
476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07.03 4442
475
인권일반
인권위 공동행동
2012.07.02 3949
474
인권일반
인권위공동행동
2012.07.02 3260
473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05.23 3224
472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04.04 4888
471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04.04 3454
470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04.04 5009
469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04.04 4535
468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03.28 5537
467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2.03.28 5090
466
인권일반
인권단체
2012.03.14 3209
465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12.21 4367
464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12.08 3902
463
인권일반
인권위 공동행동
2011.11.25 4035
462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11.24 3551
461
사회권위원회
인권운동사랑방
2011.11.21 3750
460
인권일반
인권단체연석회의 공권력감시대응팀
2011.11.09 3801
459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09.28 4044
458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09.23 3351
457
인권일반
인권침해감시단
2011.08.29 4275
456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08.25 4144
455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08.25 4319
454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07.29 4289
453
인권일반
인권단체
2011.07.22 4074
452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06.24 4258
451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06.16 4419
450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06.05 3789
449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06.02 7931
448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06.02 4267
447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05.13 4658
446
사회권위원회
인권운동사랑방
2011.03.22 4595
445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1.01.28 5276
444
사회권위원회
인권운동사랑방
2011.01.20 4779
443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0.12.13 5173
442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0.12.10 5194
441
인권일반
인권위 공동행동
2010.12.10 5184
440
인권일반
인권위 공동행동
2010.11.24 5914
439
인권일반
인권위 공동행동
2010.11.17 5298
438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0.11.05 6308
437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0.10.26 5615
436
인권일반
인권위공동행동
2010.10.25 5440
435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0.10.11 5983
434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0.10.08 6149
433
인권일반
인권운동사랑방
2010.10.04 5926
432
자유권위원회
인권운동사랑방
2010.10.04 5130
431
자유권위원회
인권운동사랑방
2010.10.04 5301
1 2 3 4 5 6